소득주도 성장 부정적
양극화지표 다소 완화

[원데일리=이태겸 기자] 작년 1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5분기 연속 전년동기대비 소득 하위 20% 가구의 감소폭이 다소 축소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다만 전체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이 줄어드는 등 정부가 당초 의도했던 소득주도 성장의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가계동향조사(소득부문) 결과’에 따르면 1분기 소득 하위 20%(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월 125만4700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5% 줄었다. 1분위 소득은 지난해 1분기 이후 다섯 분기 연속 전년 동기보다 줄면서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근로소득은 40만4400원으로 14.5% 나타났다. 이는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과 경기 불황 등 여파로 저소득층의 일자리 감소로 풀이된다. 실제 지난해 1분기 0.67명이던 1분위 취업가구원수는 올해 1분기 0.64명으로 줄었다.

다만 1분위 소득 감소 폭을 줄인 것은 공적연금ㆍ기초연금ㆍ사회수혜금 등 ‘이전소득’ 증가로 보인다. 이전소득은 전년 대비 5.6% 늘어난 63만1000원으로 1분위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을 넘었다. 일자리를 통해 벌어들이는 근로소득은 줄어든 반면, 각종 지원금이 늘면서 생활을 정부 등의 지원에 의존하는 경향이 더욱 강해지고 있다는 의미다.

올 1분기 가구 평균소득은 482만6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 늘었다. 2018년 3.7% 증가에 비교해 증가폭이 2.4%포인트(p) 감소했다.

소득 상위 20%(5분위)의 소득도 992만5000원으로 전년 대비 2.2% 감소했다. 2016년 1분기부터 이어졌던 증가세가 3년 만에 꺾인 것이다. 2~4분위의 소득이 늘면서 1~5분위 전체 가구의 소득은 1.3% 늘어난 482만6300원을 기록했다. 근로소득이 0.5% 늘어난 322만원, 사업소득은 1.4% 감소한 89만2200원을 보였다.

이는 가계가 실제로 쓸 수 있는 돈(처분가능소득)으로 따지면 올해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이 374만8000원으로 0.5% 줄었다. 처분가능소득은 명목 소득에서 세금ㆍ국민연금ㆍ건강보험료ㆍ이자비용같이 국민이 매달 의무적으로 내는 ‘비소비지출’을 뺀 금액이다.

실제 비소비지출은 107만8300원으로 1분기 기준으로는 처음으로 월 100만원을 넘었다. 가구당 월평균 소득(482만6300원)을 감안하면 벌어들이는 돈의 22.3%를 만져보지도 못하고 정부 등에 내고 있다는 뜻이다.

박상영 과장은 “5분위 배율은 다소 개선됐지만, 시장의 소득 상황이 좋아진 것으로 판단하기에는 아직 이르다”고 말했다. 저소득층의 소득 증대가 아니라 고소득층의 소득 감소에 따른 것인 만큼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 원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